CLASS web

JavaScript

함수 화살표 표기법

함수 화살표 표기법

이번에는 또 다른 방법으로 함수를 선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ECMA Script6(ES6)에서 새로 생긴 방식입니다.

화살표 표기법으로 함수 선언하기

  1. 변수(함수명) = () => 리턴할 값;

기존의 함수표현식보다 좀 더 짧게 함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. 귀찮게 function을 타이핑할 필요가 없지요. ^^

그럼 실행해서 해봅시다.

  1. <!DOCTYPE html>
  2. <html>
  3. <head>
  4. <meta charset="utf-8" />
  5. <title>pinkcoding - JavaScript</title>
  6. <script>
  7. const arrowFunc = () => 'in arrow function';
  8.  
  9. document.write(arrowFunc());
  10. </script>
  11. </head>
  12. <body>
  13. </body>
  14. </html>

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



JavaScript function-arrow-notation

파라미터를 사용하려면 () 대신 파라미터명을 작성합니다.

화살표 표기법에서 파라미터 사용하기

  1. 변수(함수명) = 파라미터명 => 리턴 값;

그럼 파라미터를 사용해서 예제를 실행해 볼게요.

주의할 점은 파라미터 사용시 ``로 감싸며 파라미터는 ${파라미터명} 으로 사용합니다.

  1. <!DOCTYPE html>
  2. <html>
  3. <head>
  4. <meta charset="utf-8" />
  5. <title>pinkcoding - JavaScript</title>
  6. <script>
  7. const arrowFunc = year => `I was born ${year}`;
  8.  
  9. document.write(arrowFunc(2005));
  10. </script>
  11. </head>
  12. <body>
  13. </body>
  14. </html>

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



JavaScript function-arrow-notation

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면 return문의 작성도 필요없이 짧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
하지만, 보통 어떠한 연산을 하고 값을 return합니다.

이럴때는 대괄호를 사용하여 명령문을 작성합니다. 대신 return키워드는 작성해야합니다.

  1. 변수(함수명) = 파라미터명 => { 명령문 };
  1. <!DOCTYPE html>
  2. <html>
  3. <head>
  4. <meta charset="utf-8" />
  5. <title>pinkcoding - JavaScript</title>
  6. <script>
  7. const arrowFunc = sum => {
  8. const sumValue = sum + 10;
  9. return sumValue;
  10. };
  11.  
  12. document.write(arrowFunc(2005));
  13. </script>
  14. </head>
  15. <body>
  16. </body>
  17. </html>

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



JavaScript function-arrow-notation

파라미터를 2개이상 사용할때는 괄호로 감싸서 사용합니다.

  1. 변수(함수명) = (파라미터명,파라미터명) => 리턴할 값;

문자열속에서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``를 사용하지 않아도 됩니다. 또한 파라미터를 사용할 때 ${파라미터명}도 필요없습니다.

즉 다음과 같이요.

  1. <!DOCTYPE html>
  2. <html>
  3. <head>
  4. <meta charset="utf-8" />
  5. <title>pinkcoding - JavaScript</title>
  6. <script>
  7. const arrowFunc = (num, num2) => num + num2;
  8.  
  9. document.write(arrowFunc(1999,2020));
  10. </script>
  11. </head>
  12. <body>
  13. </body>
  14. </html>

결과는 바로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





JavaScript function-arrow-notation

화살표 표기법 사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. ^^





댓글 0개

정렬기준

PinkCoding

PinkCoding

X

PinkCoding

Web Scratch Pad

X

loading
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ה
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X

컨텐츠로 돌아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