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를 객체로 만들어서 아규먼트로 사용할 때 구조분해할당을 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먼저 객체를 생성해서 함수에서 객체의 값을 출력한다면 다음과 같이 .연산자를 사용해 객체의 값에 접근합니다.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 />
<title>EVERDEVEL - JavaScript</title>
<script>
const myDeviceData = { name : 'iPad Pro', cpu : 'A12 Bionic', display : 12.9 };
function myDevice(data){
document.write(data.name + '<br>');
document.write(data.cpu + '<br>');
document.write(data.display);
}
myDevice(myDeviceData);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위의 코드를 구조분해할당을 사용해서 함수안에서 객체의 키값으로 값에 접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대괄호로 감쌉니다.
function myDevice({name, cpu, display})
그리고 값에 접근하려면
function myDevice({name, cpu, display}){
`${key}`
}
위와 같이 사용합니다.
자 그럼 해봅시다.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 />
<title>EVERDEVEL - JavaScript</title>
<script>
const myDeviceData = { name : 'iPad Pro', cpu : 'A12 Bionic', display : 12.9 };
function myDevice({name, cpu, display}){
document.write(`${name}` + '<br>');
document.write(`${cpu}` + '<br>');
document.write(`${display}`);
}
myDevice(myDeviceData);
</script>
</head>
<body>
</body>
</html>
봐주셔서 감사합니다. 문의 또는 잘못된 설명은 아래의 댓글에 부탁드립니다.
당신의 작은 누름이 저에게는 큰 희망이 됩니다.
댓글 0개
정렬기준